태지쌤

로봇 & 코딩교육 No.1 크리에이터

이것저것

파이썬의 메서드 체이닝(python method chaining)

태지쌤 2023. 10. 19. 12:30
반응형

파이썬의 메서드 체이닝은 한 객체의 메서드를 연속적으로 호출하여, 결과를 이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Python

string = "Hello, world!"

이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꾸고, 공백을 제거한 다음, 길이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Python

string = string.upper()

string = string.strip()

length = len(string)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1. string.upper() 메서드를 호출하여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2. string.strip() 메서드를 호출하여 문자열 양쪽의 공백을 제거합니다.
  3. len() 함수를 호출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구합니다.

이 코드를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Python

length = len(string.upper().strip())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1. string.upper() 메서드를 호출하여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2. string.strip() 메서드를 호출하여 문자열 양쪽의 공백을 제거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3. len() 함수를 호출하여 반환된 결과의 길이를 구합니다.

메서드 체이닝은 코드를 더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코드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해줍니다.

메서드 체이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여러 개의 메서드를 연속적으로 호출해야 하는 경우
  • 코드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 코드를 더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만들고 싶은 경우

다음은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하는 몇 가지 예입니다.

  • 문자열을 처리하는 경우: .upper(), .lower(), .strip(), .replace(), .split() 등
  • 숫자를 처리하는 경우: .abs(), .round(), .floor(), .ceil(), .sqrt() 등
  • 리스트나 튜플을 처리하는 경우: .append(), .extend(), .sort(), .reverse() 등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는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할 때는 반환되는 객체의 유형을 확인해야 합니다.
  •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할 때는 메서드의 순서에 주의해야 합니다.

메서드 체이닝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메서드 체이닝을 익히면 파이썬 코드를 더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메서드 체이닝(Method Chaining)"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로, 객체의 메서드를 연속적으로 호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메서드가 항상 해당 객체를 반환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면, 메서드 호출 결과에 다시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속적인 메서드 호출을 '체이닝'이라고 합니다.

파이썬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메소드가 새로운 객체를 반환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지만, 메소드 체이닝을 활용하려면 각각의 메소드가 수정된 혹은 새로운 인스턴스 자신(self)을 반환하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예제 코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예제에서 accelerate와 brake 함수는 작업 후에 self를 반환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들 함수의 반환값에 다른 함수를 연결하여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코드 한 줄에서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메서드 체이닝'입니다.

그러나 파이썬 커뮤니티에서는 가독성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메소드 체인 사용에 대한 의견 분분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복잡한 체인은 디버깅하기 어렵고 코드 해석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