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ise_for_status() 메서드는 파이썬의 requests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메서드로, HTTP 요청을 보낸 후에 응답(response) 객체의 상태코드(status code)를 검사하여, 상태코드가 200번대(성공)가 아닐 경우, HTTPError 예외를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GET 요청을 보내고자 하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import requests
response = requests.get('https://www.example.com')
이때, 만약 서버가 정상적으로 응답하지 않아 404 Not Found 상태코드를 반환한다면, response 객체의 status_code 속성값은 404가 됩니다. 이때 raise_for_status() 메서드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HTTPError 예외가 발생합니다.
import requests
response = requests.get('https://www.example.com')
response.raise_for_status()
따라서, 이 메서드를 사용하여 예외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예외 처리를 통해, HTTP 요청이 실패할 경우 적절한 예외처리를 하거나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등의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독학] 코딩은 처음이라 with 파이썬 (1) | 2023.04.18 |
---|---|
파이썬에서 randrange와 randint의 차이점 (0) | 2023.03.17 |
파이썬 matplotlib에서 그래프, ticks 눈금숫자 사이즈 키우는 방법 (0) | 2023.03.15 |
인덱싱 슬라이싱 위치 이미지 (0) | 2023.03.14 |
파이썬 데코레이터(decorator)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