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link.coupang.com/a/c7HkXm
마이밀 퓨로틴 고소한맛, 250ml, 24개 - 영양식 | 쿠팡
현재 별점 4.8점, 리뷰 5474개를 가진 마이밀 퓨로틴 고소한맛, 250ml, 24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영양식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매일 아침 출근길, 지하철역에서 들리는 “열차가 무정차 통과합니다”라는 안내방송은 이제 누구에게나 익숙한 소리가 되어버렸습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지하철 탑승 시위가 2021년 12월부터 벌써 4년째 이어지면서, 수많은 시민들이 출근길 혼란 속에서 하루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AI 활용
숫자로 보는 시민들의 피해
2024년 11월 한 달 동안만 약 2만 1,600명의 승객이 열차 무정차 통과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전장연은 올해 들어 11월까지 323일 중 214일 동안 지하철 역사·승강장·열차 안에서 집회와 선전전을 진행했는데, 이는 사흘에 이틀꼴로 시위가 있었다는 뜻입니다.
- 11월 4일 서울역 : 56분간 무정차 → 약 1만 930명 영향
- 11월 18일 광화문역 : 약 30분간 무정차 → 3,140명 이상 불편
- 4월 21일 시위 당시 : 하루 열차 지연 손실액 2,100만 원, 관련 민원 245건
2021년부터 2024년 초까지 누적된 사회적 손실비용은 약 4,450억 원, 불편을 겪은 시민은 1,060만 명에 달한다고 서울시는 밝혔습니다.

AI 활용
“또 지각하면 시말서…” 출근길 시민들의 절규
지난 11월 18일 시위 현장에서는 한 시민이 “지난주부터 뭔 짓이냐, 진짜 못 살겠다”며 “우리도 9시까지 출근해야 한다. 시말서 쓰는 게 얼마나 짜증 나는지 아느냐. 국회 가서 하라”고 외쳤습니다. 이 영상은 하루 만에 110만 조회를 돌파하며 수많은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이런 하소연이 끊이지 않습니다.
- “왜 애꿎은 시민을 볼모로 잡나”
- “첫 출근인데 당신들 때문에 지각 생겼다”
- “직장이 혜화역이라 4년째 시위만 하면 지각한다”
- “매일 ‘시위 때문에 늦을 것 같아요’라고 회사에 말하는 게 죽도록 힘들다”
4호선 이용 직장인은 “사전 예고 없는 게릴라식 시위 때문에 정말 난감하다”며 “시민들 지지를 얻어야 힘이 생길 텐데, 지금 방식이 과연 효과가 있느냐”고 토로했습니다.
장애인 이동권에는 공감하지만… 시위 방식은?
여론조사를 보면 시민들의 마음이 복잡하다는 게 드러납니다.
- 장애인 이동권 보장 요구 자체에는 80% 이상이 공감
- 저상버스 확대 도입에는 88%가 찬성
하지만
- 지하철 탑승 시위 방식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이 “이해할 수 없다”
- 시위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이 40% (긍정적 변화 25%보다 높음)
결국 권리 내용은 공감하지만, 그 방식은 별개로 판단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다른 장애인 단체들도 “시위 방식 잘못됐다”고 말한다
놀라운 점은 다른 장애인 단체들조차 전장연의 방식을 비판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시민을 볼모로 잡는 시위는 잘못됐다. 장소를 알리지 않는 게릴라식 시위에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지하철 운행 정상화를 위한 장애인 연대’라는 단체까지 결성되어 전장연 시위를 저지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면 장애인 전체에 대한 인식이 나빠진다”며 방식 변경을 촉구했습니다.
중증장애인 당사자인 한 사회복지학 연구자는 “지금의 지하철 시위는 권리의 본질을 드러내기보다 설득력을 스스로 깎아내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왜 하필 출근길인가? 다른 방법은 정말 없는가?
전장연은 “출근 시간대가 가장 많은 사람에게 문제를 알릴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며 “20년 넘게 요구했는데도 변하지 않으니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많은 시민들이 묻습니다.
“예산과 법을 결정하는 건 국회와 정부인데, 왜 출근하는 시민들을 괴롭히나?”
서울시는 2025년까지 모든 역에 엘리베이터 설치를 약속했고,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단축 등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물론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그 불만의 화살은 애꿎은 시민들에게 향해서는 안 됩니다.
대안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국회 앞 집회, 정책 토론회, 언론 캠페인, 서명운동, 정당·정치인과의 협의체 구성 등 시민들의 일상을 볼모 잡지 않으면서도 훨씬 더 직접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실제로 전장연도 국회에서 장애인권리정책 전달식을 여는 등 다른 활동을 병행하고 있지 않습니까.
권리 투쟁이 공감을 잃을 때
장애인 이동권은 분명히 보장되어야 할 기본권입니다. 휠체어를 타고 엘리베이터 없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게 얼마나 힘든지, 비장애인들은 제대로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권리는 설득으로 얻는 것입니다. 4년째 이어지는 출근길 시위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오히려 나빠지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는 심각한 경고입니다. 지지를 얻어야 힘이 생기는데, 지금 방식은 지지 기반을 스스로 허물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묻습니다.
“전쟁 같은 삶을 사는 사람들의 출퇴근 시간에 왜 시위를 하나?”
장애인의 권리를 위한 투쟁은 정당하지만, 다른 시민들의 생존권을 침해하는 방식은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말처럼 “출근길 대중교통을 막는 행위는 타인의 생존권을 부정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장애인 이동권도, 시민들의 출근권도 모두 소중한 권리입니다.
두 권리가 충돌하지 않는 방식을 찾을 때 비로소 진정한 사회적 공감과 실질적인 변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시민들의 출근길을 인질로 삼는 대신,
정책을 결정하는 정부와 국회를 직접 겨냥한 투쟁으로 전환해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그럴 때 우리 모두가 함께 외칠 수 있을 테니까요.
“장애인 이동권, 지금 당장 보장하라!”
#전장연 #지하철시위 #출근길지옥철 #장애인이동권 #저상버스 #엘리베이터설치 #서울지하철 #무정차통과 #시민불편 #출근지각 #장애인권리보장 #오세훈 #국회앞시위 #사회적공감 #이동권투쟁 #4호선 #혜화역 #서울역 #광화문역 #장애인차별철폐 #권리보장 #출퇴근권 #지하철타격대 #게릴라시위 #여론조사 #장애인인식악화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년 만에 다시 찾은 북극해고등어 오산본점 – 가격은 올랐지만, 그 맛만큼은 여전하다 (0) | 2025.11.26 |
|---|---|
| 국민연금 개혁안, 정말 청년만 고통받는 걸까? (0) | 2025.11.24 |
| 늘봄학교 업체위탁의 어두운 그림자: 현장 강사들의 절규(2) (0) | 2025.11.23 |
| 사무실 필수 겨울템! 책상 아래 쏙 들어가는 '인더스 데스크 히터' 실제 후기 (화재 걱정 ZERO) (0) | 2025.11.20 |
| 이수역 점심 맛집 미소야에서 만난 신메뉴! 치즈 알밥정식 후기 🔥 (0) | 2025.11.19 |